본문 바로가기
입양 이야기

03. 입양을 결정하다 - 입양에 대한 편견

by s나나s 2022. 10. 29.

인생을 살다보면 누구나 한번 쯤은 입양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다. 

내 일이든, 남의 일이든 입양은 "좋은 것"이라고 말한다.

입양하는 부모에게는 "훌륭하다"고 말한다.

사람마다 생각이 다르겠지만, 나는 "훌륭하다"는 말도 입양에 대한 편견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입양가족은 특별한 가족이 아니라 그냥 가족이며,

입양은 특별한 일이 아니라 그저 가족을 구성하는 방법 중 하나일 뿐이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예전보다는 입양에 대해 많은 것들을 배우고 이해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입양에 대한 편견이 존재한다. 

예전보다는 많이 희석되었지만 아직도 간간이 보이는 편견들이 있다. 무엇이 있을까?

 


1.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혈통을 중시하는 유교적인 가족관으로 인해

    입양부모는 입양아를 낳은 자식처럼 키우지는 못할 것이다.

   + 막장 드라마의 클리셰 : "도대체 어떤 아이인 줄 알고 데려와 키워?" "이런 근본 없는 애를 어떻게 키워?"

 

2. 입양아는 사춘기가 되면 문제를 일으킬 것이고, 입양사실을 알게 되면 큰 상처를 받고 혼란에 빠질 것이다.

 

3. 입양아는 크고 나면 입양부모를 떠나서 친생부모를 찾아갈 것이다.

 

4. 입양을 하려면 돈이 많아야 한다.

 

5. 입양가정은 일반적인 가정보다 더 많은 어려움을 겪을 것이다.


 

우리 부부 역시 입양에 대한 편견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것은 '입양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많고,

인품이 훌륭한 사람들의 전유물'이라는 생각이었다.

남편이 어느날 이렇게 말했다.

"입장을 바꿔놓고 생각을 해보면, 내가 입양이 돼서 어떤 가정에 왔어.

그런데 알고보니 부모가 찢어지게 가난한 거야.

전에 기관에 있었던 때 누렸던 걸 강제로 다 포기해야 된다면 아이 입장에서 어떻겠어.

'날 왜 데려왔어?' 하지 않을까? 걔가 무슨 죄를 지었길래 우리 집에 와야 해? 그렇게 생각했어요."

 

하지만 남편은 곧이어 자신의 생각이 바뀌게 된 과정을 말했다.

그는 아이에게 최고는 그 어떤 것보다 "부모"가 있는 것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비록 물질적으로는 전보다 부족해질 수도 있지만,

자신을 계속 책임지고 함께하는 부모의 사랑은 아이가 한 명의 어른으로 자라나는 데 있어

필수적이고 그 어떤 것보다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아마도 그간 접했던 입양과 관련된 책과 영상에 좋은 영향을 받은 것 같다.

 

그렇다.

입양은 특별한 사람이 할 수 있는 특별한 일이 아니며,

돈이 많이 있는 사람만 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우리 부부가 할 수 있다면 당신도 할 수 있다.

입양을 하는 사람들이 흔히 하는 말이 있다.

"우리는 이 세상을 바꿀 수는 없지만 한 아이의 세계를 바꿀 수는 있다"고

우리가 부모가 되고 아이를 사랑하는 것으로 그는 건강한 마음을 지닌 아이로 잘 자라나게 될 것이다.

 

아직 입양을 망설이고 있을지도 모르는 당신을 나는 격려하고 싶다. 

'혹시 내가 아이를 충분히 사랑해주지 못하면 어떡하지?'

'내가 감당하기 힘든 일이 벌어지면 어떡하지?'

'우리 가정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많지 않은데 정말 가능할까?' 

 

괜찮다.

가능하다.

당신은 해낼 수 있다.

 

보통의 부모와 자녀 관계가 그렇듯 양육 과정에서 여러 문제가 생기겠지만.

아이를 키우며 마음이 수백 번씩  우울의 바다로 곤두박질칠 수도 있겠지만.

당신은 결국 끝까지 사랑하게 될 것이다.

 

우리 부부는 경제력이 여유 있지도 않고, 인품이 훌륭하지도 않다.

더군다나 나는 암으로 아팠던 사람이다.

비록 지금 건강하다고 할지라도 내 병력을 아는 사람에게 나는 '암환자'로 여겨질 수밖에 없다.

그럼에도 나는, 우리는 입양을 하기로 결정했다.

 

2021년, 병원에서 5년 완전관해 판정을 받은 그날 부터. 

 

 

다음 이야기 04. 우리는 입양할 수 있을까? 

 


참고로 통계조사 결과에 따르면, 엄마의 모성은 친생아, 입양아 구분없이 동일하다고 한다.

입양되는 아이가 연장아가 아닌 경우 자신이 직접 낳은 아이가 아니더라도 모성애가 생긴다.

(연장아의 경우는 좀 더 시간이 필요할 뿐 마찬가지로 엄마의 모성은 작동된다.)

댓글